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두통의 종류 및 편두통과 해열진통제 소염진통제

두통은 누구나 한 번쯤은 겪어 보는 흔한 증상이지만 통증이 시작되면 일상생활이 힘들고 뇌의 문제가 있지나 않은지 걱정도 되어 여러 가지 검사를 하기도 하는데 대부분 98%는 정상인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두통은 1차성과 2 차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1 차성 두통은 우리가 흔하게 겪는 두통을 말하고 특별한 원인이 없으며 원발두통이라고도 합니다.

여기에는 편두통, 긴장성 두통과 군발두통, 찌름두통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출처:123RF

 

일반 두통약

 

일반의약품 진통제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진통효과를 나타냅니다.

 

심하지 않은 두통, 편두통에는 아세트아미노펜,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대표적인 약품이 타이레놀, 펜잘 등 입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복용했을 때 위장장애가 없고 장기 복용했을때 안전한 약입니다.

두 번째는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은 NSAID로 분류되는데 이것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라는 뜻입니다.

약국에서 판매 중인 부루펜, 이지엔 6, 그날엔 정 등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이소프로필안티피린을 포함하고 있는 약물 중 게보린, 사리돈정 등이 있는데 이 성분은 피린계 NSAID로 골수 억제에 의한 과립백혈구감소증, 재생불량성빈혈 같은 부작용이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판매중지되었고 국내에서는 15세 이상의 연령에서만 단기적으로 복용이 허용되어 있습니다.

 

긴장성 두통

유발요인은 스트레스와 나쁜 자세로 인한 경우가 많고 머리나 어깨결림 증상이 동반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군발두통

강도 높은 통증이 지속되는 것을 말하며 남성에게 많이 발병하고 청소년기나 20대에서 증상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흡연이나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통증은 일반의약품으로 잡기 힘들 정도로 심한 특징이 있습니다.

1 차성 두통 중에서도 편두통은 뇌혈관의 팽창, 뇌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대사이상, 뇌혈관의 경련에 의한 뇌신경압박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차성은 뇌의 문제가 아닌 치과, 이비인후과, 안과, 신경질환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편두통

편두통이 다른 두통과 다른 특징은 두통 전 전조증상이 있는데 아래의 세 가지 증상이 대표적입니다.

1. 머리의 통증과 동시에 박동성이 있음

2. 4 ~ 72시간 지속되는 증상

2. 울렁거림과 구토증상 동반

3. 시야가림, 소리와 빛에 대한 공포감

 

편두통 급성진통제

1. 아세트아미노펜이나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인 NSAID 같은 진통제 (심하지 않은 편두통)

2. 혈관수축제(트립탄, 에르고타민, 카페인)  (심한 편두통)

3. 항구토제

위의 약물은 편두통이 발생했을 때 즉시 투여했을 때 가장 효과가 좋고 트립탄이 포함된 약물은 이미그란정, 나라믹정, 조믹정, 미가드정 등이 있습니다. 

 

※ 트립탄 약물의 부작용.

1. 어지러움, 졸림

2. 구역, 구토

3. 흉부의 조이는 느낌, 흉통

 

에르고타민도 비슷한 기전으로 혈관을 수축시키고 신경전달물질을 억제하여 통증을 조절하는데

에르고타민은 트립탄에 비해 효과는 작고 울렁거림이나 구토증상이 있지만 지속시간이 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국내에는 크레밍정, 카페큐정이 나와있습니다.

 

※출처:지엘파마

 

편두통 예방치료제

예방치료제는 급성치료제로 조절이 불가능할 때, 통증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때 사용하고 급성진통제와 다르게 통증이 없어도 매일 복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베타차단제나 삼환계항우울제, 칼슘채널차단제, 항우울제, 항경련제등이 있는데 최소 30일 이상 투여해야 효과가 있으며

항우울제는 우울증 외에도 야뇨증, 과민성대장증후군, 신경통, 편두통등 다양한 질환에 사용되는 약물이며 세로토닌을 증가시키고 뇌혈관을 수축시켜 편두통의 통증을 조절합니다.

 

 

 

※출처:삼진제약

 

이상으로 두통과 편두통에 사용되는 진통제를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유튜브 영상을 참조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